메뉴

[에디터레터] 한글 맞춤법

어제는 한글날이었습니다. 많은 직장인들에게는 한글날 대체 공휴일 부여로 인해 고마운 연휴를 보내는 기쁨을 만끽하는 날이기도 하죠. 세종대왕님께서 한글을 창제해 우리가 지금도 편하게 쓰고 있다는 생각에 감사한 마음이 듭니다. 
 
아이는 아직 한글 받아쓰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특히 자음군 받침은 아주 어렵다고 합니다. 서로 다른 두 자음이 받침으로 있는 경우, ‘없’ ‘흙’ ‘밟’ 같은 것은 아예 포기하고 못 쓰겠다고 포기할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혼자서 엄마에게 편지를 쓰겠다면서 고사리 같은 손으로 글을 적어올 때는 어찌나 대견한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맞춤법은 어린이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저도 맞춤법이 헷갈릴 때는 국립국어원이나 포털 등에서 검색해서 쓸 때가 많습니다. 작년 10월 국립국어원 블로그에 따르면, 평소에 한글 맞춤법을 잘 지키려고 노력하느냐는 질문에 18.2%가 매우 그렇다, 48.5%가 그렇다는 답을 했다고 합니다. 매체에서도 어문 규범 오류가 꽤 나오는데요. 가장 많이 나오는 오류는 띄어쓰기라고 합니다. 
 
국립국어원은 블로그를 통해 한글 맞춤법을 더 잘 지킬 수 있는 방법으로 3가지를 제안했습니다. 우리 말과 글을 소중히 여기고 관심을 갖는 것이 1번입니다. 그다음은 헷갈리는 단어가 있으면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아니면 국립국어원 국어생활종합상담실에 전화로 물어볼 수 있습니다. 
 
한글날 연휴를 맞아, 저 역시 부모로서 또 기자로서 다시 한 번 맞춤법에 신경을 쓰겠다는 다짐을 합니다. 
 
우먼스플라워 박종미 기자 


PHOTO

더보기